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아오쿠모 린
(r1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밈 === * '''가오쿠모 린''': '자기가 남자라면 사귀고 싶은 스텔 멤버는?' 콘텐츠를 진행하던 중, 남성 버전 린을 지칭하며 붙여진 이름. 애인에게는 멋진 모습을 보이고 싶어 하지만 어딘가에서 그러지 못하는, 이름 그대로 가오(허세)가 넘치는 인물로 묘사되었다. 이후 방송에서 사나이 모먼트를 보여줄 때 가끔씩 언급되는 정도였으나, 2025년 [[만우절|4월 1일]], 고민 상담을 진행하기 위해 방송에 처음으로 직접 [[https://x.com/hukhukc/status/1907107669120553106|등장]]하였다. 이때 사용하는 말투는 '아가쿠리미들'. 이후 히나의 히드라 컨텐츠에도 깜짝 등장했다. * '''냉동고''': 빙하기[* 스트리머 부재중]에 대응되는 밈으로, 팬 캐릭터가 [[아이스크림]]이기 때문에 방송을 시작할 때 팬들이 '냉동고에서 나온다', 방송을 종료할 땐 '냉동고로 들어간다' 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 '''넌 녹아라''': [[넌 나가라]]의 변형. 팬 캐릭터가 [[아이스크림]]이기 때문에 '나가라' 대신에 '녹아라'로 표현한다. "녹네에..."[* 스트리머가 잠시 자리를 비울 때 쓰는 "늦네에..."의 변형] 라는 응용도 있다. * '''넌 오븐에 들어가라 & 넌 오븐행''': 넌 오븐 들어가라 & 오븐행은 팬 캐릭터가 [[아이스크림]]이기 때문에 잔인한 말이나 이상한 말을 할 때 오븐에서 녹아버리라고 쓰는 말이다. 보통은 '넌 녹아라'와 같이 채팅에 올라온다. * '''뇨''': 공포게임을 플레이할 때 겁에 질려 내는 비명이 '뇨-' 라서 생긴 밈. 다른 사람들에겐 들을 수 없는 독특한 비명이 튀어나오기 때문에 순식간에 밈이 되었고 현재는 비명 뿐만이 아닌 추임새의 용도로도 사용된다. 슬퍼서 울 때에도 '''뇨흐흑'''이란 소리로 운다. 현재는 린의 상징 키워드로 굳어졌으며 별명이 생길 때도 린XX보다 '''뇨XX'''라는 별명이 더 자주 붙는다.[* 예를 들어 [[Squirrel with a Gun]]을 플레이 했을 때는 '''[[다람쥐|뇨람쥐]]'''라는 별명이 붙었다.] * '''뇨치''': 한 시청자가 [[날치]] 관련 다큐멘터리와 평소 풍부한 린의 방송 리액션들을 절묘하게 합성하여 [[https://youtu.be/xS8YoJvQmQk?si=pAIbKbF6HyUaW4yf|뇨치의 하루]] 라는 팬영상을 만들었다.[* 25년 7월 기준 13만 조회수를 넘어가고 있다.] 워낙 고퀄인지라 린도 방송에서 직접 언급을 하며 쿠리미들과 함께 다시 시청하기도 했다.[[https://youtu.be/aXCzLSygVYg|#]] 그리고 몇 달 후 [[유로트럭]] 게임 콘텐츠를 진행할 때 린은 뇨치 캐릭터와 NYO라는 글씨를 넣은 두건을 준비해 왔고 쿠리미들은 뇨치 두건에 대해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 [[https://youtu.be/nVsOhn3UKM4?si=3In3vcbgwEOGZw1u&t=1897|#]] * '''뇨봇''': 데뷔 초에 말투가 독특해서 로봇이 아니냐는 오해를 받아 간간히 나오다가 시간이 지나 데뷔하고 1년이 채 되지않은 기간에 커버곡을 20곡 가까이 업로드해 커버곡 뽑아내는 로봇이 아니냐는 찬사의 의미로 불린다. 2025년 4월 1일 스텔라이브 공식 만우절 영상에서도 자신이 로봇이라며 공식화 되었다. * '''~린''': 아오쿠모 린에서 린을 따와 ~린 사이에 특정 상태를 의미하는 말을 넣는 밈. 거의 모든 단어에 붙여 쓸 수 있기에 활용도가 높고 방송에서 특정 떡밥이 굴러가면 바로 올라오는 편이다. 아오쿠모 린에서 아오까지 따와 [[아오 페리시치|아오 ~린]]처럼 말을 강조하기도 한다. * '''린아가''': 게임 이해도가 낮은 린이 각종 게임에서 뉴비의 모습을 보이면서 붙은 별명. [[아이리 칸나]]가 스텔라이브 좀보이드 서버에서 린을 처음 "린아가"라고 부른 것이 계기가 되어 자연스럽게 퍼지기 시작했다. 이후 스텔 마크 서버 시즌 3을 비롯한 다양한 합동 게임 방송에서 린이 뉴비로서 다른 멤버들의 도움을 받는 일이 반복되며 사용 빈도가 늘어났고, 본인도 이를 인정하면서 별명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 '''[[맑눈광]]''', '''광기''', '''4차원''': 잔잔하고 차분한 톤의 목소리와 동기들에 비해 어른스러운 이미지였던 초반과는 다르게, "뇨"라는 특이한 비명이나 의성어를 비롯하여 갈수록 여러 기행들을 선보이며 맑눈광 이미지가 붙었다. 특히 완전 새하얀 피부 덕에 맑은 눈이 강조되고, 각종 기행들은 평온한 느낌을 주는 목소리와 대비되어서 이러한 특징이 크게 두드러진다. [[봉누도]], [[팰월드]] 스텔서버, [[몬스터 헌터 와일즈]] 등 여러 대형서버나 게임에서 살벌하고 파멸적인 커스터마이징을 선보이거나, [[사과게임]]을 하는 동안에 쉬지 않고 2시간이나 입브금을 불러대거나, R.E.P.O 같이 협동 합방에서 분탕질을 하는 등의 진짜 광기 모먼트를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 '''박수''': 린이 화장실[* 플가라고도 하며, 플라워가든의 줄임말이다.]을 갈때마다 시청자들이 박수를 쳐준다. LCK 리그 같이보기를 하던 중 [[T1/리그 오브 레전드|T1]]의 [[류민석|케리아]] 선수가 화장실 이슈로 퍼즈를 할 때 관중들이 박수를 한 사건에서 유래. * '''사카밤바스피스''': [[유즈하 리코]]의 방송에서 [[사카밤바스피스]]를 닮았다는 소리를 듣게 되었고[* [[https://youtu.be/Y1Sy_l5HBf0|원본클립]]] 이 내용을 기반으로 한 [[https://youtu.be/25zUKfh2KMs?si=88l5GVTj_ZB1TkCF|음MAD]]가 스텔라이브 멤버들을 통해 퍼지면서 정착하게 된 밈. 정면샷을 보면 특유의 동그란 눈과 세모난 입[* 새하얀 피부톤에 머리카락과 눈썹, 눈커풀도 모두 흰색이라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눈동자와 입이 더욱 강조되어 보인다.]이 확실히 닮은 듯한 느낌을 준다.[*사진 [[파일:verycutesakabambarin02.jpg|width=50%]]][* 이 표정은 린이 물을 마시면서 채팅을 볼 때의 표정이다. (◉▼◉)] 이후 본인의 유튜브 숏츠 영상이나 방송에서도 언급되었고, 물고기화 된 팬아트가 넘쳐나더니 급기야 [[https://www.youtube.com/watch?v=YY5qEBp5mk8|구독자 전용 움짤 이모티콘으로 추가되어]] 본인으로부터 징그럽다는 반응을 얻었고, 심지어는 강지 사장의 유튜브 배너에서도 다른 멤버들과 달리 [[https://www.youtube.com/watch?v=6RphHUck0Js|혼자 카츄샤를 쓴 사카밤바스피스로 등장]]하면서 공인되었다.[* 현재는 사람 형태로 그려졌으나 이젠 다시보기 채널 배너에서 '''엄청난 덩치를 자랑하는 물고기'''로 그려졌다.] * '''소두즈''': '나노즈' 라고도 불리며 [[유즈하 리코]], 아오쿠모 린, [[아이리 칸나]]를 이르는 말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대두즈의 반의어로, 멤버 전원이 [[소두]]라서 이러한 명칭이 붙게 되었다. * '''엣헴''': 준비된 멘트를 시작하기 전이나 민망한 상황 등에 자주 튀어나오는 말. * '''여고생즈''': [[시라유키 히나]], 아오쿠모 린, [[유즈하 리코]] 콤비를 이르는 말으로 각 멤버들의 나이가 18세, 17세, 18세이다보니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 '''우어터, )-(, 음 우마이''': 무언가를 먹을 때 나오는 밈. 우어터는 물의 영어인 water를 린의 발음으로 표현한 것으로, 유니의 밈인 '무르'와 대응되는 표현이다. 린이 물을 마시면 우어터와 특유의 입모양인 )-( 가 채팅창에 도배된다. 음 우마이는 음료수(주로 초코라떼)를 마실 때 내는 말버릇이며, 이것도 린이 음료수를 마실 때마다 쓰인다. * '''육해공즈''': [[Chained Together]] 합방으로 생겨난 밈으로 [[유즈하 리코]], 아오쿠모 린, [[아이리 칸나]] 콤비를 이르는 말이다. 리코는 [[이베리코|돼지]], 린은 [[사카밤바스피스]], 칸나는 [[용]]을 상징하여 [[육해공]]이라는 명칭이 붙게 되었다. 이후 육해공즈의 팬아트도 빠르게 만들어졌다.[[https://x.com/twit_gooak/status/1809193704890224729|#]] * '''이익, 이ㅣㅣ익, 뇨이이이익, [[릴리아(리그 오브 레전드)|린리아]]''': 분하거나 억울할 때 나오는 의성어, 리그 오브 레전드의 릴리아의 말투와 같다보니 린리아라고 부르기도 한다 * '''이잉 쿠모링 / 아오 쿠모링''': PV 영상에서 이름이 공개되자마자 시청자들 사이에서 만든 밈. 데뷔 영상 공개 전 대기 중에 쿠모링으로 채팅창이 도배되었을 정도이다. 유래는 [[괴물쥐]]의 대표 유행어인 '이잉 기모링'이다. 다만 린 본인은 해당 밈을 잘 모르고 있었고, 데뷔 당일 처음 알았다고 한다. * '''잇츠미~''': 본인을 소개하거나 주어진 역할을 강조할 때 쓰는 말. 밈의 시작은 [[Squirrel with a Gun]]을 플레이 했을 때 '''"잇츠 미, 다람쥐"'''라고 했던 말이 유튜브 합성 영상으로 유명해지면서[[https://youtu.be/NMKGGBki2Cg?si=avUNv__PyQ3qAFp3|#]] 밈화 되었고, 아예 [[봉누도]]에서 병원 면접을 볼 때는 자기소개 멘트로 써먹으면서 린을 대표하는 밈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 '''청운종''': 마무리 방송중 [[젠레스 존 제로]]의 주인공에 대해 이야기하다 주인공 이름 벨(BELL)의 일본버전 이름이 방울 령(鈴)의 일본발음인 린[* 다만 방울 령(鈴)자는 일반적으로는 한음(漢音)인 レイ(레이)로 읽는 경우가 조금 더 많고, 당음(唐音)인 リン(린)으로 읽는 것은 중국어 발음인 링(铃: líng)을 표기한 것에 가깝다. 그래도 완전히 외국어 표기인 것은 아니어서 인명, 지명 등에 두 발음이 혼용되는 편이다.]이라는 걸 알게 되고 신기해했다. 그러자 시청자들이 채팅에서 '아오쿠모 린'을 아오쿠모 령 또는 아오쿠모 종이라 부르다가 아오(青)와 쿠모(雲)까지 한국발음으로 바꿔 '청운종' 으로 개명시켜버렸다.[* 실제로는 령(鈴)이 아닌 름(凜) 자를 쓰기 때문에 한자 발음이 青雲(청운) [[凜|凜(름)]]이다.] 방종시간이라 시청자들은 '운종씨 잘자유~'라며 놀림을 이어갔고 린은 그게 뭐냐며 이익~!거렸지만 '더 킹 받는 건 그 명칭이 친근감이 드는 것'이라고 말했다.[[https://youtu.be/mpFLtQzgSTk?si=-Oz_by0Tn8NasH88|#]] 당시에는 썩 맘에 들지 않은 듯한 반응이었지만 내심 이 명칭이 은근히 맘에 들었는지 후에 자작시를 짓는 콘텐츠에서 본인의 작가명을 청운종이라고 적었고[[https://youtu.be/oISf-IXTV38?si=NjyVxQrxCGhilBAg|#]], 이후 [[봉누도]]에서도 RP명으로 청운종을 사용했다. * '''쿠모린''': 이름에서 따온 인사말로, 굿모닝과 어감이 비슷해서인지 린이 데뷔 전부터 사용했었다. 또한 한 글자인 린의 이름에 어감을 더해주는 별명으로 쓰이기도 한다. * '''킥킥, 히히, 짱 웃기네''': 신날 때나, 장난을 칠때 조용히 내는 웃음소리. 특히 합방이나 다른 멤버를 상대로 장난을 칠 때 혼자 조용히 미소지으면서 웃는다. 거기에 덧붙여 "짱 웃기네(웃긴다)"라는 말도 쓰며, 짱이란 표현을 쓰는 이유는 평소 비속어를 쓰지 않기 때문에 순화된 표현이다. * '''~하이''': Hi가 아니라 '~하니'의 동남 방언이다. 이것 역시 린 특유의 말투이며, 활용도가 높아서 자주 쓰인다. * '''하트 딸기''': 하트 달기 후원을 특유의 억양으로 따라 한다. * '''[[EW|ewwww]]''': 징그러운걸 볼때 자주 외친다. 특히 거미같은 벌레를 볼 때 사용하는 편이다. *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T]]모린''': 중간중간 감정적이지 않은 차가운 멘트나 다들 눅눅할 때 혼자만 멀쩡히 제습 상태인 것 등의 모습을 많이 보여 생긴 별명. 본인은 MBTI 검사에서 F가 나왔다며 부정했으나, 이후 25년 03월 14일에 MBTI 검사 결과 ISTP가 나왔다고 밝혔다. * '''9모린''': 평소에 오후 9시[* 일본어로 9시의 9를 く(쿠)라고 읽는다.]에 방송을 시작하기 때문에 쿠모린의 쿠를 9로 표현한 것. 방송 시작 시각에 따라서 7, 8과 같은 숫자로 바꿔서 부르기도 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